보강 1년 만에 균열이 난 성산대교 남단 부분은 공사 자재에 대해 제대로 된 성능시험조차 하지 않은 것으로 YTN 취재결과 드러났습니다. <br /> <br />하중에 따른 파손 가능성을 측정하기 위해 반드시 거쳐야 하는 콘크리트 피로도 시험 등을 생략한 건데요. <br /> <br />서울시는 엉뚱한 평가 결과를 내세우며 문제가 없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황윤태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1980년 완공된 성산대교는 하루 통행량이 15만여 대에 육박합니다. <br /> <br />서울 한강을 가로지르는 31개 대교 가운데 한남대교에 이어 두 번째로 붐빕니다. <br /> <br />이처럼 차량이 많이 다니는 큰 다리는 하중으로 인한 교량 파손 가능성, 즉 피로도를 미리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 <br /> <br />이 때문에 국토부 규정에도 성산대교 같은 대형 교량이나 주요 도로 공사 때는 바닥 판에 2백만 회가량 진동을 가하는 피로도 시험을 반드시 하게 돼 있습니다. <br /> <br />그런데 YTN 취재 결과 서울시는 성산대교 남단 보강공사 당시 바닥에 까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의 피로도를 시험하지 않은 거로 파악됐습니다. <br /> <br />바닥 판의 균열 가능성과 지지력·안정성을 확인하는 시험 역시 생략한 사실도 드러났습니다. <br /> <br />서울시는 문제가 없다는 태도입니다. <br /> <br />바닥 판 안에 들어가는 철근의 저항력이 충분해 피로도 시험이 따로 필요하지 않다는 겁니다. <br /> <br />[서울시 관계자 : 그건 제가 알고 있기론 강교(에 깔리는) 바닥판에 대한 규정은 없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.] <br /> <br />전문가들은 서울시의 해명이 전형적인 논점 흐리기라고 비판합니다. <br /> <br />서울시가 강조하는 철근의 저항력만으론 바닥 판 콘크리트 전체에 가해지는 하중의 영향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없다는 겁니다. <br /> <br />[조원철 / 연세대 토목공학과 명예교수 : (피로도 시험은) 기구로 (콘크리트를) 때렸을 때 깨진다던지 하는 반응이 나오는 것을 보는 건데, 그걸 안 했다? 그건 말이 안 되죠.] <br /> <br />[고택진 / 건설업계 관계자 : (바닥 판) 완제품에 대한 시험을 해야 하는데 완제품은 (시험을) 전혀 하지 않았습니다. 업체 말만 듣고 (바닥 판을) 설치했기 때문에…. (균열이 발생할 수밖에 없었다고 생각합니다.)] <br /> <br />국민권익위원회는 성산대교 부실시공 의혹과 관련한 공익 신고를 접수하고 공사 관계자들과 서울시를 상대로 조만간 조사에 들어가기로 했습니다. <br /> <br />YTN 황윤태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황윤태 (hwangyt2647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203220446290915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